[뉴스현장] '보복 악순환'되나…이스라엘 전시내각 결론 주목<br /><br /><br />이란의 보복 공습에 따른 중동 전운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, 이스라엘의 재반격 여부가 확전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중동 상황을 마영삼 전 이스라엘 대사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주이스라엘 대사도 지내셨고요. 주 팔레스타일 대표도 역임하신 만큼 누구보다 지금의 중동 상황을 잘 분석하고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. 먼저 첫 질문, 이스라엘이 이란 영사관을 공격한 뒤 이스라엘이 본토를 공격당했습니다. 그리고 다시 이스라엘이 재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는데요. 현재로선, 별다른 공격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고 있습니다. 일단, 숨 고르기에 들어간 건가요?<br /><br /> 특히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전시내각이 재보복하는 방안까지 고려했습니다만, 이스라엘 총리가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후에 보복 카드를 철회했다고 하는데요. 이스라엘 전시내각이 미국의 요구에 영향을 받았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 총리에게 "신중하고 전략적인 판단을 하라"고 촉구했다는 보도도 나왔는데요. 이스라엘 전시 내각이 미국의 요구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이 만약 재보복에 나선다면 이스라엘도 지원하지 않을 거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. 하지만 여전히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는 꺾지 않고 있습니다. 바이든 대통령이 생각하는 중동 사태 관리 계획은 어떤 거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여전히 확전의 열쇠는 이스라엘이 쥐고 있는 셈인데요. 이스라엘이 미국의 만류에도 재보복에 나설 가능성, 얼마나 될까요?<br /><br /> 모두가 우려하는 게 5차 중동전쟁의 가능성입니다. 5차 중동전쟁 가능성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만약, 재보복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면, 이스라엘로서는 또 다른 출구전략이 필요할 텐데요. 만약 전선을 확대하지 않는다면, 이스라엘로서는 어떤 출구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편, 이스라엘 본토를 공격한 이란은 "이스라엘의 대응이 없으면 새로운 공격도 없다"며 확전은 원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. 현재 이란의 속내는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동안 이란과 이스라엘을 두고 그림자 전쟁을 벌인다는 표현을 많이 써오지 않았습니까? 한 마디로 대리전을 해온 셈인데, 왜 이번엔 서로 본토 공격을 했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특히 이란은 미국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다 보니 무기도 굉장히 낙후됐다고 알려졌었는데요. 이란의 이번 탄도미사일 공격을 두고, 과거보다 굉장히 강력해졌고 또 정교해졌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. 이런 평가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가자 전쟁도 같이 좀 짚어보겠습니다. 현재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이 6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. 반년이 지났음에도 가자 전쟁이 해결되지 못하는 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여러 상황 짚어봤는데요. 앞으로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국면에서 가장 큰 고비, 변곡점은 무엇이 될 거라고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